맨위로가기

봉산 지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봉산 지씨는 고려 시대의 무신 지채문을 시조로 하는 한국의 성씨이다. 지채문은 1010년 거란의 침입 당시 활약하여 공을 세웠으며, 고려 덕종 때 1등 공신으로 추록되었다. 봉산 지씨는 평창, 제천, 장단, 선천 등으로 분파되었으며, 고려 시대에 상서좌복야 지맹, 예부시랑 지총연, 동북면병마부사 지숙연, 지녹연, 지대성 등 많은 인물을 배출했다. 조선 시대에는 정묘호란 때 의병으로 활약한 지득남, 현대에는 대한항공 대표이사 사장을 지낸 지창훈 등이 있다. 봉산 지씨는 강원도 평창군에 집성촌을 이루고 있으며, 2015년에는 총 5,763명이 있었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봉산 지씨 - 지채문
    지채문은 고려 전기의 무신으로, 거란의 2차 침입 때 서경 방어에 참여했다가 현종의 몽진을 호종하며 왕을 보호한 공으로 공신에 녹훈되고 상장군 우복야에 올랐으며 사후 1등공신에 추록되었다.
봉산 지씨 - [성씨/가문]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성씨봉산 지씨 (鳳山智氏)
이칭봉주 지씨 (鳳州智氏)
관향황해북도 봉산군
시조지채문(智蔡文)
집성촌강원도 평창군
인물지맹
지숙연
지녹연
지창훈
년도2015년
인구5,763명
비고봉산 지씨 대종회
나라한국

2. 역사

봉주 지씨(鳳州 智氏)의 시조 '''지채문'''(智蔡文)은 1010년(현종 1) 중랑장(中郎將)이 되어 거란이 침입하자 화주(和州)를 중심으로 동북 방면을 방비하다가 동북면도순검사 탁사정(卓思政)과 합세해 서경에 들어가 거란군을 격퇴하였다.[1] 왕이 남으로 피란할 때 위기에 처한 왕의 신변을 여러 번 막아내며 왕을 나주까지 무사히 호종하여 거란군이 철수한 뒤 전공으로 전토 30결(結)을 하사받았다.[1] 1016년(현종 7년) 우상시(右常侍)를 겸했고, 1026년(현종 17년)에 상장군(上將軍) 우복야(右僕射)에 올랐다.[1] 1031년(덕종 즉위년) 현종 때 남행을 호종한 공으로 1등공신으로 추록되었다.[1]

덕종이 즉위하자 이러한 조서를 내렸다.[2]

고 상장군(上將軍)·좌복야(左僕射) 지채문은 선왕께서 남쪽으로 파천하셨을 때 홀로 충절을 온전히 지켜 으뜸가는 공훈을 세웠으니 이제 그 공훈을 조목별로 기록하여 후세 사람들에게 권장하노라.

2. 1. 시조

지채문(智蔡文)은 1010년(현종 1) 중랑장(中郎將)으로서 거란이 침입하자 화주(和州)를 중심으로 동북 방면을 방비하였다. 그는 동북면도순검사 탁사정(卓思政)과 합세해 서경에 들어가 거란군을 격퇴하였다.[1] 왕이 남으로 피란할 때 위기에 처한 왕의 신변을 여러 번 막아내며 왕을 나주까지 무사히 호종하여 거란군이 철수한 뒤 전공으로 전토 30결(結)을 하사받았다.[1] 1016년(현종 7년) 우상시(右常侍)를 겸했고, 1026년(현종 17년)에 상장군(上將軍) 우복야(右僕射)에 올랐다.[1] 1031년(덕종 즉위년) 현종 때 남행을 호종한 공으로 1등공신으로 추록되었다.[1]

덕종은 즉위 후 지채문에 대해 다음과 같이 평가했다.[2]

2. 2. 고려 시대

지채문(智蔡文)은 1010년(현종 1) 중랑장(中郎將)으로서 거란이 침입하자 화주(和州)를 중심으로 동북 방면을 방비하다가 동북면도순검사 탁사정(卓思政)과 합세해 서경에 들어가 거란군을 격퇴하였다.[1] 왕이 남으로 피란할 때 위기에 처한 왕의 신변을 여러 번 막아내며 왕을 나주까지 무사히 호종하여 거란군이 철수한 뒤 전공으로 전토 30결(結)을 하사받았다.[1] 1016년(현종 7년) 우상시(右常侍)를 겸했고, 1026년(현종 17년)에 상장군(上將軍) 우복야(右僕射)에 올랐다.[1] 1031년(덕종 즉위년) 현종 때 남행을 호종한 공으로 1등공신으로 추록되었다.[1]

덕종은 즉위하여 조서를 내려, 상장군(上將軍)·좌복야(左僕射) 지채문이 현종이 남쪽으로 피난갔을 때 홀로 충절을 온전히 지켜 으뜸가는 공훈을 세웠으니 이제 그 공훈을 조목별로 기록하여 후세 사람들에게 권장한다고 하였다.[2]

2. 3. 조선 시대

지채문(智蔡文)은 1010년(현종 1) 중랑장(中郎將)으로서 거란이 침입하자 화주(和州)를 중심으로 동북 방면을 방비하다가 동북면도순검사 탁사정(卓思政)과 합세해 서경에 들어가 거란군을 격퇴하였다.[1] 왕이 남으로 피란할 때 위기에 처한 왕의 신변을 여러 번 막아내며 왕을 나주까지 무사히 호종하여 거란군이 철수한 뒤 전공으로 전토 30결(結)을 하사받았다.[1] 1016년(현종 7년) 우상시(右常侍)를 겸했고, 1026년(현종 17년)에 상장군(上將軍) 우복야(右僕射)에 올랐다.[1] 1031년(덕종 즉위년) 현종 때 남행을 호종한 공으로 1등공신으로 추록되었다.[1]

덕종은 즉위하며 다음과 같은 조서를 내렸다.[2]

3. 본관

봉산(鳳山)은 고구려 때 휴암군(鵂嵓郡) 또는 조파의(租坡衣)·휴류성(鵂鶹城) 등으로 불렸다. 신라 때에는 서암군(栖巖郡)으로 고쳤다. 고려 초에 봉주(鳳州)로 개칭하였고, 충렬왕 때에 봉양군(鳳陽郡)으로 고쳐 지사(知事)를 두었다가 후에 다시 봉주로 개칭하였다. 조선 개국 후 1413년(태종 13)에 봉산군으로 고쳤다. 1947년 군청 소재지인 사리원읍이 시로 승격되었고, 1952년과 1954년 지방 행정 체제를 개편할 때 남북으로 분리되면서 각각 은파군봉산군으로 편성되어 황해북도에 속하게 되었다.

4. 분파

봉산 지씨는 16세 지충보(智忠輔)를 파조로 하는 평창파(平昌派), 지충필(智忠弼)을 파조로 하는 제천파(堤川派), 10세 지중귀(智重貴)를 파조로 하는 장단파(長湍派), 지을귀(智乙貴)를 파조로 하는 선천파(宣川派) 등으로 분파되었다.

5. 인물


  • 고려

봉산 지씨는 고려시대에 여러 관직을 역임한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지맹(智猛)은 1055년(문종 9)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서 수사공(守司空)을 겸임하였다.[3][4] 지총연(智寵延)은 고려 숙종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냈고, 축하사절 단장으로 (遼)나라에 다녀왔다.[5] 지숙연(智淑延)은 고려 문종 때 태부소경(太府少卿)을 거쳐 1113년(고려 예종 8년) 동북면병마부사(東北面兵馬副使)를 역임하였고, 이후 대복경(大僕卿),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예빈경(禮賓卿),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를 역임하였다.[6]

지채문의 증손인 지녹연(智祿延, 1069년 ~ 1126년)은 음서(蔭敍)로 관직에 진출하여 여진 정벌에 공을 세웠다. 동북면병마판관,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 내시지후(內侍祗候), 시어사(侍御史), 경상진주도안무사(慶尙晉州道安撫使), 차호부시랑(借戶部侍郎), 동북면병마부사(東北面兵馬副使), 이부시랑, 서북면병마사를 거쳐 1125년(인종 3)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가 되었다. 이듬해 이자겸(李資謙)을 제거하려다 실패하여 귀양길에 살해되었으나, 이자겸이 제거된 후 동지추밀원사공(同知樞密院事公)으로 증직(贈職)되었다.[7]

지지용(智之勇)은 병부상서(兵部尙書), 지인정(智仁挺)은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역임하였다. 지겸(智謙)은 광록대부 판군기감사(光祿大夫判軍器監事)를 역임하였다. 지대성(智大成)은 1198년(고려 신종 원년) 제술과 시부(製述科時賦)에서 장원(壯元) 급제하였다.[8] 지희로(智希魯)는 1377년(고려 우왕 3년) 진사시에 급제하여 소윤(少尹)에 올랐다.[9][10]

  • 조선

지득남(智得男)은 1627년(조선 인조 5년) 정묘호란 때 의병으로 활약한 공으로 첨절제사(僉節制使)에 제수됐다.

  • 현대

지창훈(智昌薰, 1953년 ~ )은 대한항공 前 대표이사 사장이다.

5. 1. 고려

봉산 지씨는 고려시대에 여러 관직을 역임한 인물들을 배출하였다. 지맹(智猛)은 1055년(문종 9)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서 수사공(守司空)을 겸임하였다.[3][4] 지총연(智寵延)은 고려 숙종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냈고, 축하사절 단장으로 요(遼)나라에 다녀왔다.[5] 지숙연(智淑延)은 고려 문종 때 태부소경(太府少卿)을 거쳐 1113년(고려 예종 8년) 동북면병마부사(東北面兵馬副使)를 역임하였고, 이후 대복경(大僕卿),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예빈경(禮賓卿),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를 역임하였다.[6]

지채문의 증손인 지녹연(智祿延, 1069년 ~ 1126년)은 음서(蔭敍)로 관직에 진출하여 여진 정벌에 공을 세웠다. 동북면병마판관,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 내시지후(內侍祗候), 시어사(侍御史), 경상진주도안무사(慶尙晉州道安撫使), 차호부시랑(借戶部侍郎), 동북면병마부사(東北面兵馬副使), 이부시랑, 서북면병마사를 거쳐 1125년(인종 3)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가 되었다. 이듬해 이자겸(李資謙)을 제거하려다 실패하여 귀양길에 살해되었으나, 이자겸이 제거된 후 동지추밀원사공(同知樞密院事公)으로 증직(贈職)되었다.[7]

지지용(智之勇)은 병부상서(兵部尙書), 지인정(智仁挺)은 이부상서(吏部尙書)를 역임하였다. 지겸(智謙)은 광록대부 판군기감사(光祿大夫判軍器監事)를 역임하였다. 지대성(智大成)은 1198년(고려 신종 원년) 제술과 시부(製述科時賦)에서 장원(壯元) 급제하였다.[8] 지희로(智希魯)는 1377년(고려 우왕 3년) 진사시에 급제하여 소윤(少尹)에 올랐다.[9][10]

5. 2. 조선


  • 지맹(智猛, 988년 ~ ? ) : 지채문의 아들. 1055년(문종 9) 상서좌복야(尙書左僕射)로서 수사공(守司空)을 겸임하였다.[3][4]
  • 지총연(智寵延) : 고려 숙종 때 예부시랑(禮部侍郞)을 지냈고, 축하사절 단장으로 요(遼)나라에 다녀왔다.[5]
  • 지숙연(智淑延) : 고려 문종 때 태부소경(太府少卿)을 거쳐 1113년(고려 예종 8년) 동북면병마부사(東北面兵馬副使)를 역임하였다. 이어 대복경(大僕卿), 1116년(예종 11년) 동북면병마사(東北面兵馬使), 1117년(예종 12년) 예빈경(禮賓卿)을 역임하고, 서북면병마사(西北面兵馬使)가 되었다.[6]
  • 지녹연(智祿延, 1069년 ~ 1126년) : 지채문의 증손. 음서(蔭敍)로 내알자(內謁者)가 된 뒤 동북면병마판관에 올랐다. 1104년(숙종 9)에 여진을 정벌한 공으로 전중시어사(殿中侍御史)가 되었고, 1105년(예종 즉위년)에 내시지후(內侍祗候)로서 주부동정(注簿同正)인 은원충(殷元忠) 등과 함께 여진정벌을 위하여 동계(東界)의 산천을 순시하였다. 1107년에는 시어사(侍御史)로서 경상진주도안무사(慶尙晉州道安撫使)가 되어 백성들의 질고를 묻고 수령의 치적을 살폈으며, 1114년 차호부시랑(借戶部侍郎)으로서 동북면병마부사(東北面兵馬副使)가 되었다. 1118년에 이부시랑으로서 다시 동북면병마부사가 되었고, 1120년 서북면병마사에 올랐다. 1125년(인종 3)에 동지추밀원사(同知樞密院事)가 되었는데 이듬해 인종이 이자겸(李資謙)을 증오하는 것을 알고 내시 김찬(金粲)·안보린(安甫麟), 상장군 최탁(崔卓)·오탁(吳卓), 대장군 권수(權秀)·고석(高碩) 등과 더불어 이자겸과 척준경(拓俊京)을 제거하고자 꾀하였다. 그리하여 척준경의 아우인 준신(俊臣) 등을 죽이는 등 기선을 잡았으나 조급한 거사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오히려 붙잡혀 귀양가던 중 충주에서 살해되었다. 이자겸이 죽음을 당하자 동지추밀원사공(同知樞密院事公)으로 증직(贈職)되었으며 아들과 사위도 관직이 한 등급 올랐다.[7]
  • 지지용(智之勇) : 5세손. 병부상서(兵部尙書)
  • 지인정(智仁挺) : 6세손. 이부상서(吏部尙書)
  • 지겸(智謙) : 7세손. 광록대부 판군기감사(光祿大夫判軍器監事)
  • 지대성(智大成) : 8세손. 고려 신종 원년(1198년) 제술과 시부(製述科時賦)에서 장원(壯元) 급제하였다.[8]
  • 지희로(智希魯) : 숭문하군(崇文下軍)으로 1377년(고려 우왕 3년) 진사시에 급제하여 소윤(少尹)에 올랐다.[9][10]
  • 지득남(智得男) : 1627년(조선 인조 5년) 정묘호란 때 의병으로 활약한 공으로 첨절제사(僉節制使)에 제수됐다.

5. 3. 현대

지맹988년에 태어나 지채문의 아들이다. 1055년(문종 9) 상서좌복야로서 수사공을 겸임하였다.[3][4] 지총연은 고려 숙종 때 예부시랑을 지냈고, 축하사절 단장으로 요나라에 다녀왔다.[5] 지숙연은 고려 문종 때 태부소경을 거쳐 1113년(예종 8년) 동북면병마부사를 역임하였다. 이어 대복경, 1116년(예종 11년) 동북면병마사, 1117년(예종 12년) 예빈경을 역임하고, 서북면병마사가 되었다.[6]

지녹연(1069년 ~ 1126년)은 지채문의 증손으로, 음서로 내알자가 된 뒤 동북면병마판관에 올랐다. 1104년(숙종 9)에 여진을 정벌한 공으로 전중시어사가 되었고, 1105년(예종 즉위년)에 내시지후로서 주부동정인 은원충 등과 함께 여진정벌을 위하여 동계의 산천을 순시하였다. 1107년에는 시어사로서 경상진주도안무사가 되어 백성들의 질고를 묻고 수령의 치적을 살폈으며, 1114년 차호부시랑으로서 동북면병마부사가 되었다. 1118년에 이부시랑으로서 다시 동북면병마부사가 되었고, 1120년 서북면병마사에 올랐다. 1125년(인종 3)에 동지추밀원사가 되었는데 이듬해 인종이 이자겸을 증오하는 것을 알고 내시 김찬·안보린, 상장군 최탁·오탁, 대장군 권수·고석 등과 더불어 이자겸과 척준경을 제거하고자 꾀하였다. 그리하여 척준경의 아우인 준신 등을 죽이는 등 기선을 잡았으나 조급한 거사로 뜻을 이루지 못하고 오히려 붙잡혀 귀양가던 중 충주에서 살해되었다. 이자겸이 죽음을 당하자 동지추밀원사공으로 증직되었으며 아들과 사위도 관직이 한 등급 올랐다.[7]

지지용은 병부상서, 지인정은 이부상서를 역임하였다. 지겸은 광록대부 판군기감사를 역임하였다. 지대성은 고려 신종 원년(1198년) 제술과 시부에서 장원 급제하였다.[8] 지희로는 숭문하군으로 1377년(우왕 3년) 진사시에 급제하여 소윤에 올랐다.[9][10] 지득남은 1627년(인조 5년) 정묘호란 때 의병으로 활약한 공으로 첨절제사에 제수됐다.

지창훈대한항공 前 대표이사 사장이다.

6. 항렬자

주(柱)□□환(煥)
□훈(薰)준(埈)□
규(圭)□□진(鎭)
□석(錫)영(永)□
홍(泓)□□상(相)
□송(松)병(炳)□
홍(烘)□□용(墉)
□균(均)종(鍾)□
호(鎬)□□수(洙)
□호(浩)용(榕)□
근(根)□□희(熙)
□훈(勳)기(基)□
재(栽)□□옥(鈺)
□용(鎔)한(漢)□
하(河)□


7. 집성촌

강원도 평창군 평창읍 천동리와 응암리에 봉산 지씨 집성촌이 위치해 있다.

8. 인구

1985년에는 1,158가구 4,909명이었다. 2000년에는 2,090가구 6,714명이었다. 2015년에는 봉산 지씨가 5,751명, 봉주 지씨가 12명으로 총 5,763명이다.

9. 고려 왕실과의 인척 관계

고려 우왕의 비 영비 최씨최영의 어머니를 할머니로 둔 인물이다.

참조

[1] 웹사이트 《고려사》 권94, 열전7 https://terms.naver.[...]
[2] 웹사이트 《고려사》 권94 열전 권제7 제신(諸臣) http://db.history.go[...]
[3] 웹사이트 《고려사》 卷七 世家 卷第七 文宗 10年 4월 http://db.history.go[...]
[4] 웹사이트 《고려사》 卷八 世家 卷第八 文宗 11年 12월 http://db.history.go[...]
[5] 웹사이트 《고려사》 卷十二 世家 卷第十二 肅宗 9年 10월 http://db.history.go[...]
[6] 웹사이트 《고려사》 卷十四 世家 卷第十四 睿宗 12年 7월 http://db.history.go[...]
[7] 웹사이트 『고려사(高麗史)』 권 74 열전 7 지채문(智蔡文) 부 지녹연(智祿延) https://terms.naver.[...]
[8] 웹사이트 《고려사》 卷七十四 志 卷第二十八 選擧 二 http://db.history.go[...]
[9] 문서 「선광7년정사3월일문진사시방목(宣光七年丁巳三月日門進士試榜目)」
[10] 한국학중앙연구원 인물 지희로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